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3

연말정산 카드공제 한도 및 최대로 받는 방법, 카드공제의 취지 연말정산에서 카드공제 부분은 많은 분들이 공제혜택에 있어서 많이 아쉬워하십니다. 그러한 이유와 카드공제가 나타나게 된 배경 및 취지를 설명하고 카드공제를 최대로 받기 위한 전략도 소개하겠습니다. 연말정산 카드 공제는 어디에 속하는가 매년 진행하는 연말정산에서 각종 공제라는 단어가 남용됩니다. 그때마다 조금은 용어의 어려움이나 1년마다 돌아오는 연말정산으로 인하여 알고 있던 정보가 새록새록합니다. 우선 아래 그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통상 우리가 받는 연봉이라는 개념이 총급여액에 해당되며, 근로소득 공제 → 소득공제 → 세액공제라는 3가지 단계를 거쳐서 연말정산을 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소득공제에 아래에 해당하는 카드 공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큰 그림에서 연말정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아래 글.. 2023. 9. 19.
청약통장 해지 여부 및 전략적 대응 방법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청약통장 해지하는 분들이 주위에 많은 거 같습니다. 과연 청약통장은 해지하는 것과 유지하는 것 중 어느 정이 더 유리한지 전략적 관점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청약통장이란 무엇인가? 청약통장이란 공식적인 명칭은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라고 합니다. 편의상 이 글에서는 보통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용어인 청약통장으로 통일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은 공공이든 민영이든 새로운 아파트를 짓게 되면 주택청약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집주인을 찾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미 지어진 아파트이고 시세대로 내 집마련을 위해서라면 청약통장은 필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처음 분양하는 아파트는 시세보다 낮은 경향이 있기에 너도 나도 청약통장을 만들어 청약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청약통장에 대한 전체적인 정.. 2023. 9. 17.
연말정산 인적공제 및 연간근로소득액 100만원 이하 조건 알아보기 연말정산의 인적공제는 소득공제 항목 아래에 들어가는 공제 중 하나입니다. 간단히 연말정산의 큰 흐름을 짚어보고,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 기본인적공제, 추가인적공제에 대하여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특히 기본인적공제에 나오는 연간근로소득액 100만 원 이하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 근로자들에게만 적용되는 연말정산이란 매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13월의 월급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이벤트처럼 대응하곤 하였습니다. 그런데 바쁘게 회사생활 하면서 1년마다 접하는 용어이다 보니 조금 헷갈리는 부분이 많습니다. 우선 아래 그림을 보고 전체 흐름을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에는 공제라는 이름으로 들어가는 항목이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각각 항목의 상위개념과 하위 개념을 명확히.. 2023. 9. 17.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란 무엇이며, 청약 당첨 및 성공 전략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란 무엇이며, 청약에 성공하기 위한 국민주택, 민영주택별 1순위가 되기 위한 조건 그리고 최종 청약 성공을 위한 청약선정 기준까지 상세히 설명하고 유형별 대응 전략도 소개하겠습니다.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란 무엇인가?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주택청약 종합저축이라는 단어는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일상생활에서는 보통은 청약통장이라는 말이 더 자연스럽기도 합니다. 사실 위 4가지 중, 주택청약 종합저축을 제외하고는 2015년 9월 1일 이후 신규가입이 불가능하며 현재는 주택청약 종합저축으로 통일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청약통장이라고 하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곧 주택청약 종합저축으로 인지하시면 됩니다. 청약(請約)이라는 단어에서 청(請)은 '누군가에게 부탁한다'는 의미이고 약(約)은.. 2023. 9. 15.
2023년 국민연금 개편 방향성 및 대응 방안 2023년 논의되고 있는 국민연금 개편에 따르면 현 지급기준을 유지 시 지금부터 14년이 흐른 2055년 기금이 고갈된다고 합니다. 이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 및 배경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면 이에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국민연금 개혁이 필요한 이유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3년 9월 시점에 대한민국은 국민연금 개혁안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최저인 0.8명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출산율은 가임 연령인 15세 ~ 49세의 여성이 출산한 아이의 수를 말합니다. 그럼 연도별로 대한민국의 출생아 수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1970년도만 하더라도 약 100만 명 수준의 출생아가 태어났습니다. 40년이 흐른 2010년도에는.. 2023. 9. 13.
소득공제, 세액공제, 근로소득공제 차이점 및 연말정산 활용 방법 근로소득자는 매년 이벤트처럼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어려운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고 특히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제 3단계 근로소득공제 → 소득 공제→ 세액 공제라는 구조를 이해하신다면 아는 만큼 번다는 절세의 효과를 누릴 수 있으리라 판단됩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근로소득공제 이해하기 일반적인 직장인이라면 매년마다 연말정산을 통한 세액을 돌려받기도 하고 추가 납부하기도 합니다. 이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근로소득공제라는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곤 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일반적인 흐름도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럼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그리고 근로소득 공제의 기본적인 개념은 무엇일까요? 소득 공제 : 누구나 일반적으로 받을 수 있는 공제 개념입니다. 본인을 포함한 부양가족수..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