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금융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 및 세금계산기, 소득공제,세액공제 계산법

by 인사이츠Eyes 2024. 7. 8.

 

 

 

 

통상 연봉세전기준으로 인식됩니다. 그럼 이런저런 세금을 제외하고 우리가 받는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요? 각종 포털사이트에 나와있는 결과가 아닌 실제 사례를 통하여 그 과정을 알아보고, 연봉 구간별 세금부담률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세후 실수령액 연봉계산
<세후 실수령액 연봉계산>

 

 

 

 대한민국의 평균 연봉은 얼마나 될까?

회사에 취업하여 근로소득자로 살아가면서 매년 많던 적던 임금오르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의 근로소득자 기준정규직 임금과 비정규직, 그리고 전체 임금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연도별 대한민국 근로소득자 평균임금 추이도
<연도별 대한민국 근로소득자 평균임금 추이도>

 

  • 예상했던 부분이지만, 정규직비정규직 대비 약 1.9배 정도 많은 임금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정규직 4,348만 원 vs 비정규직 2,348만 원 vs 근로자 전체 평균은 3,608만 원'입니다. 
  •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임금 상승률을 보면, 매년 평균 3.6%가 상승하였습니다.
  • 결론적으로 근로소득자임금은 최소한 물가상승률만큼반영되었다고 판단합니다. 

 

 

연봉에 부과되는 세금은 무엇이 있을까?

근로소득자라면 매년 연말정산을 통하여 세금환급받거나 추가 납부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동일 연봉이라도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지곤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연말정산을 통산 최종 세액결정 과정은 크게 '총 급여(세전기준 연봉) → 근로소득공제 → 소득 공제 → 종합소득과세표준을 통한 산출 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이라는 과정을 거칩니다.

 

 

근로소득자의 연봉에서 최종 내야하는 세금까지 과정 (소득공제)
<근로소득자의 연봉에서 최종 내야하는 세금까지 과정 (소득공제)>

 

 

 

이 글은 보편적으로 세전연봉대비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는 목적이므로, 아래와 같이 누구나 납부해야 하는 기본적인 세금가정 사항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료 및 소득세까지만 감안하고, 부양가족은 본인 1명만 존재하며, 20세 이하의 자녀도 없다는 가정입니다.  

 

 

 

 

  • 국민연금 : 국민연금 요율 인상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있으나, 현재 기준으로는 9.0%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회사와 개인50%씩 나눠 내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9.0% ÷ 2 = 4.5%만큼 부과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건강보험료 : 2024년 기준 요율은 7.09%이며, 건강보험료 역시 회사와 개인이 반반씩 부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보험료'7.09% ÷ 2 = 3.545%' 만큼 세전 기준 연봉에서 과세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노인장기요양보험료 : 위에서 납부한 건강보험료 금액12.95%를 납부하게 됩니다. 이 역시 회사근로자가 반반씩 부담합니다. 
  • 고용보험료 : 근로자는 세전기준 연봉의 0.9%를 부담합니다. 다만 회사는 규모에 따라 '1.8% + 고용안정'이라는 산식으로 부담하게 됩니다.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 위에 말씀드린 각종 보험료는 기본적으로 소득공제 형태로 우리의 소득낮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산출된 금액'종합소득과세표준'이라고 하며 이를 기준으로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부과하게 됩니다.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세전기준 3,500만 원 연봉 기준 실수령액 산출 과정 

대한민국 대졸신입사원평균 희망연봉약 3,540만 원이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전 기준 연봉 3,500만 원기준으로 부양가족이 없다는 가정하에 실 수령액산출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회사에 사내식당이 없어 식사비를 따로 월급에 포함하여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식사비를 보통은 '비과세 소득'으로 처리하곤 합니다. 이렇게 실제 내가 받고 있는 연봉'연간급여액'이라고 하고, 식시비'비과세 소득'제외세전 연봉'총 급여액'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납부하는 세금의 출발점세전 기준의 연봉은 바로 '총 급여액' 기준에서 시작합니다. 

 

 

 

 

 

 

 

  • 세전 기준 연봉은 3,500만 원이고, 세법 용어로는 '총 급여액'이 3,500만 원입니다.
  • 가정 먼저 근로자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근로소득공제'소득낮게 만들어 줍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근로소득공제표를 보시면, 연봉 3,500만 원은 '(3,500만 원 - 1,500만 원) *15% + 750만 원= 1,050만 원'이 산출됩니다.

근로소득공제 공제금액 산출표
<근로소득공제 공제금액 산출표>

 

  • 근로소득공제산출1,050만 원만큼 내 연봉에서 빼줍니다. 그만큼 납부해야 할 세금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 '세전 기준 연봉 3,500만 원 - 1,050만 원 = 2,450만 원'이 되었습니다. 
  • 이제 '소득공제'라는 이름으로 한번 더 공제가 들어갑니다. 여기에서는 '국민연금+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료'본인 인적 공제 150만 원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연봉 3,500만원 각종 보험료 계산
<연봉 3,500만원 각종 보험료 계산>

 

  • 위에서 '근로소득금액'으로 산출된 '2,450만 원 - 각종 보험료 329만 원 - 인적공제 150만 원 = 1,970만 8,000원'이 됩니다. 
  • 이제 드디어 '종합소득 과세 표준'이 완성되었습니다. 최초 시작3,500만 원이었으나 우리의 소득은 이제 1,970만 8,0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 이렇게 산출된 1,970만 8,000원'종합소득세과세표준표'에서 찾아 산식에 넣어 줍니다. 
  • '84만 원 + (1,970만 8,000원 - 1,400만 원)*15% = 169만 6,000원'이 바로 내가 납부해야 하는 1차 확정 세금입니다.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 그런데 여기에서 고맙게도 '근로소득 세액공제'라는 이름으로 세금을 또 공제해 줍니다. 
  • 연봉 3,500만 원근로소득 세액공제 산식은 '74만 원 - (3,500만 원 - 3,300만 원)*0.8% = 72만 4,000원'입니다.

 

근로소득 세액공제한도 및 계산법
<근로소득 세액공제한도 및 계산법>

 

  • 위에서 1차 확정 납부해야 했던 세금인 '169만 6,000원 - 세액공제 72만 4,000원 = 97만 2,300원'산출되었습니다.  
  • 그럼 마지막으로 97만 2,300원지방소득세 10%가산해 주면, 최종적으로 106만 9,530이 되며 바로 이 값연봉 3,500만 원인 근로자국가에 내야 하는 최종 세금입니다. 

 

그럼 다시 돌아와 연봉 3,500만 원근로자최종 실 수령액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연간 3,500만원 세전연봉의 세후 연봉 흐름도
<연간 3,500만원 세전연봉의 세후 연봉 흐름도>

 

  • 세전 기준 연봉 3,500만 원에서 시작하면
  • '국민연금+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고용보험료'각종 보험료 329만 원 
  • 그리고 위에서 산출최종 국가에 내야 하는 세금 106만 9,530원을 적용하면
  • '3,500만 원 - 329만 원 - 106만 9,530원 = 3,063만 9,134 원'이 됩니다. 
  • 비율로 따지면 12.5%는 세금으로 나가고 87.5%를 실 수령액으로 받는 것입니다.
  • 그럼 실수령액 3,063만 9,134원12개월로 나누면 월 255만 3,261만 원을 실 수령하게 됩니다.

사실 동일한 조건으로 네이버나 각종 인크루트 사이트에서 조회한 결과실수령액에는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국세청 손텍스에서 시뮬레이션해 보면 결과는 제가 말씀드린 사항정확히 일치합니다. 

 

손텍스 연봉 3,500만원 세금납부 계산
<손텍스 연봉 3,500만원 세금납부 계산>

 

 

 

네이버실수령액 산출로직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큰 차이는 아니니, 세전기준 연봉실수령액 사이에 이 정도 차이가 난다는 부분을 인지하시기 바라며, 이왕이면 위의 산출과정을 인지하시고 연말정산합리적으로 대응하신다면 조금이라도 절세할 수 있는 방법얼마든지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실제 산출 과정을 말씀드렸습니다.

 

 

 

 

세전기준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 비교하기

그럼 이제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다양한 세전 기준의 연봉을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대한민국은 연봉이 높을수록 세금이 급격히 증가하는 누진세적용하기에 연봉 구간별 실 수령액 비중중심으로 보시는 것도 흥미롭다고 생각합니다.

세전기준 연봉 구간별 세금 및 실 수령액
<세전기준 연봉 구간별 세금 및 실 수령액>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 마무리

대졸 신입사원 희망연봉 3,500만 원에서 기타 다른 공제는 없다는 가정하에 산출되는 월 실수령액이 255만 원이고, 통상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요한 고정비등을 생각하면 뉴스에 나오는 '청년빈곤'이라는 단어피부에 직접 와닿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자의 경우 직급상승에 따른 근로소득이 크게 증가하는 구간이 있으므로 이 부분 인지하시고 근로소득과 함께 건전한 투자를 병행하면서 점차적으로 자산을 늘려가는 계획세워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