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금융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2025년 최신 정보와 꿀팁

by 인사이츠Eyes 2025. 2. 10.

 

 

서울에서 살아가는 청년이라면, 우리 모두의 관심사, 주거비 아낄 수 있는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2월 기준으로 가장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지원 내용 및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신청방법, 필요서류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2025년 최신 정보와 꿀팁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2025년 최신 정보와 꿀팁>

 

 

지원내용 및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 지원금액 : 매월 최대 20만 원
  • 20만 원은 2024년 기준이고 2025년은 아직 미확정이나 지원금액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지원 기간: 12개월 (총 240만 원까지 가능)

그럼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2025년 기준으로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 나이: 만 19세 ~ 39세 (1985년 1월 1일 ~ 2006년 12월 31일 출생자)
  • 주소: 서울시에 실제 거주 중인 1인 가구
  • 주거 조건 : 임차보증금 8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만일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할 경우,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합산하여 총액이 96만 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 중위소득 150% 이하

 

 

2025년 기준의 중위소득 150%는 가구원수에 따라 다르니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50% (월 기준)
1인 가구 3,588,020원
2인 가구 5,898,987원
3인 가구 7,538,030원
4인 가구 9,146,660원
5인 가구 10,662,288원
6인 가구 12,097,208원

 

다만 기존에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금을 받을 사람은 재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기수혜자 및 국토교통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수급자는 제외됩니다. 

 

 

청년월세 신청 방법

2025년 신청은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4월 초 ~ 4월 말 (정확한 날짜는 추후 공지)
  • 신청 방법: 서울주거포털 온라인 신청 선정
  • 결과: 2025년 7월 초 발표 예정 첫 지원금: 2025년 8월 말 지급 예정

꼭 알아둬야 할 팁이 있습니다. 아래 항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선착순 아닙니다: 25,000명을 선정하지만, 조건별로 구분해 무작위 추첨합니다.
  • 제외 대상 확인: 이전에 지원받은 적 있거나,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제외됩니다.
  • 준비물: 임대차계약서, 소득증빙서류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임대차계약서 : 본인이 거주 중인 주택의 임대차 계약서
  • 소득증빙서류 :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또는 소득금액증명원 등 소득을 증빙할 수 있는 서류 

  • 간단히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를 추천합니다. 
  • 주민등록 등본 : 신청일 기준 1개월 이내 발급된 주민등록 등본
  • 통장사본 : 지원금을 받을 본인 명의의 계좌 사본 
  • 신분증 : 주민등록증 혹은 운전면허증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금은 매월 지급됩니다. 선정된 대상자는 첫 지원금 지급일 이후 매월 정해진 날짜에 계좌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다만 선정 과정이 완료된 후 첫 지급 시에는 신청일 기준 소급적용된 금액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몇 단치가 한꺼번에 지급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마무리

서울에서는 숨만 쉬어도 100만 원은 나간다가는 우스개 소리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전세 사기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도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에서의 삶, 특히 주거비가 부담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지원금은 청년분들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조건이 맞는다면 잊지 마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